마인드플러스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마인드플러스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06)
    • 컬러스토리_Color story (10)
    • 아트스토리_Art story (14)
    • 헬스 케어_Healthcare (16)
    • 행운의 메신저_Lucky messenger (5)
    • 실용 정보_Knowledge & Tips (2)
    • 심리학_Mind therapy (55)

검색 레이어

마인드플러스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달리의 '기억의 지속': 시간과 감정의 흐름을 담은 심리적 상징

    2024.06.29 by thee

  • 심리학자 알프레드 아들러 -삶의 본질과 선택

    2024.06.22 by thee

  • Ugly art 추한 미술

    2024.06.10 by thee

  • 색은 어떻게 인식하는걸까?

    2024.06.07 by thee

  • 칼 융의 미술심리치료 -꿈,만다라,그리고 개인성장

    2024.05.27 by thee

  • 조안 켈로그Joan Kellogg의 예술 치료

    2024.05.27 by thee

  • 만다라의 기원과 상징성- Mandala Therapy -

    2024.05.26 by thee

  • 칼융의 자서전 레드북(아트테라피)

    2024.05.26 by thee

달리의 '기억의 지속': 시간과 감정의 흐름을 담은 심리적 상징

살바도르 달리의 대표작인 ‘기억의 지속(The Persistence of Memory)’은 초현실주의를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로, 녹아내리는 시계들을 통해 시간이 흐르는 방식과 우리의 심리적 경험을 강렬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비현실적이면서도 심오한 감정과 심리적 상징을 담고 있어, 감정의 지속성, 시간의 개념, 인간의 내면 세계와 감정의 흐름을 탐구하는 데 적합한 주제로 많은 논의가 이루어집니다.이번 글에서는 ‘기억의 지속’이 어떻게 심리학적 관점에서 우리의 감정과 시간 인식을 반영하는지, 그리고 이 작품이 어떻게 인간의 내면을 탐구하는 상징으로 기능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1. 시간과 감정의 유동성달리의 '기억의 지속'에서 가장 눈에 띄는 요소는 녹아내리는 시계들입니다. 시간의 흐름은 보통 일..

아트스토리_Art story 2024. 6. 29. 23:28

심리학자 알프레드 아들러 -삶의 본질과 선택

알프레드 아들러의 삶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 1870-1937)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의사이자 심리학자로, 개인심리학(Individual Psychology)의 창시자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알프레드 아들러는 열등감, 사회적 관심, 생활양식 등 인간의 심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들을 제시하며 심리학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그의 이론은 오늘날에도 상담, 교육, 심리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그의 삶과 업적을 간략히 정리해보겠습니다.초기 생애와 교육- 출생: 1870년 2월 7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유대인 가정의 여섯 형제 중 셋째로 태어났습니다.- 건강 문제: 어릴 때 심각한 구루병을 앓아 걷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형의 죽음을 목격하는 등 여러 어려움을 겪으며 자랐습..

심리학_Mind therapy 2024. 6. 22. 16:58

Ugly art 추한 미술

Ugly Art는 전통적인 아름다움의 기준을 벗어나, 의도적으로 불쾌하거나 기이한 이미지를 창조하는 예술입니다. 이 예술 형태는 종종 관객에게 충격을 주거나 불편하게 하여 사회적, 정치적, 심리적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합니다. Ugly Art는 일반적으로 아름다움과 미학에 대한 기존의 개념에 도전하며, 예술의 표현 범위를 확장하고자 합니다.   프란시스 베이컨은 인간의 내면의 고통과 불안을 포착한 작품으로 유명합니다. 그의 작품은 종종 기괴하고 불쾌한 이미지를 통해 인간 존재의 복잡성을 탐구합니다.조커가 유일하게 사랑했던 화가로도 알려진 프랜시스 베이컨의 작품은 살아있는 육체를 조각 내어 분해하고 인간 내면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특히 감추고 싶어하는 깊은 본능들을 적나라하게 표현한 작가로 유명합니다. 아..

아트스토리_Art story 2024. 6. 10. 12:19

색은 어떻게 인식하는걸까?

색의 인식과 빛의 역할색은 사물의 형태와 함께 우리가 인식하는 기본적인 시각 요소입니다. 눈에 들어온 빛이 각막과 수정체를 거쳐 망막에 맺히면 시각 세포가 빛을 감지하여 신경 신호로 바꿔 시각 중추로 전달하며, 이 과정을 통해 우리는 색을 인식하게 됩니다. 모든 물체는 빛을 발산하며, 이 빛 중에서 시각 세포가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의 빛을 '가시광선(visible light)'이라고 부릅니다.뉴턴은 "우주의 모든 색은 빛으로 만들어졌다"고 선언했지만, "광선은 색에 물들지 않는다. 다만 색감을 불러일으키는 힘이 있을 뿐이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빛이 물리적인 개념인 반면, 색은 심리적인 영역이기 때문입니다. 빛 자체에는 색을 유발하는 특성만 있을 뿐입니다.빛의 성질과 색의 인식 과정빛은 일반적으로 파동..

컬러스토리_Color story 2024. 6. 7. 17:03

칼 융의 미술심리치료 -꿈,만다라,그리고 개인성장

프로젝티브 카드 테스트 'MARI'와 마스터 리톱스의 연구.Kellogg는 사람들이 자신의 만달라를 그릴 시간, 힘, 기술이 없을 때에도 사용할 수 있는 MARI라는 투영 카드 테스트를 개발했습니다. 이 투영 카드 테스트는 건축 디자인과 각 색상 세트에서 가장 선호하는 만다라와 가장 선호하지 않는 것을 선택하는 것을 작업에 포함합니다.132명의 심장병 환자와 63명의 암환자에게 이 카드를 주었습니다.  암환자와 심장병 환자 모두 9단계를 선택했습니다.  만개 상태인 9가 가장 선호하는 디자인으로 나타났습니다. 9단계는 사명 실현을 의미합니다. 보통 인생에서 성취한 것을 즐기고 보존하고 싶을 때 9단계를 선택합니다. 결과 그들은 생명을 위협하는 요소를 직면했을 때 변화하거나 놓아버리거나 피할 수 없는 상황..

심리학_Mind therapy 2024. 5. 27. 03:16

조안 켈로그Joan Kellogg의 예술 치료

칼 융이 개인환자를 대상으로 한 심리치료에서 만다라를 폭넓게 활용했다면 만다라 그림을 개인과 집단 모두에게 보다 객관적인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는 미술치료의 한 형태로 대중화한 사람은 조안 켈로그(Joan Kellogg)입니다.조안 캘로그는 융의 만다라 작품에 매료되어 1969년부터 만다라를 사용하여 약 10년간 다양한 정신과 병동에서 미술치료로 환자들에게로 수천 개의 만다라를 수집하고 분류했습니다. 융의 이론을 바탕으로 그녀는 변화에 직면한 존재 방식과 대응 방식을 반영하는 전형적인 주제가  만다라 그림에 나타남을 알아냈습니다.또한 만다라 속의 상징,색상, 모티브가 특정한 삶의 상황과 연관되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예를 들어 위쪽을 가리키는  삼각형이나 피라미드는 어떤 종류의 새로운 시작과 자주 연관되는..

심리학_Mind therapy 2024. 5. 27. 01:24

만다라의 기원과 상징성- Mandala Therapy -

만다라의 기원과 상징성만다라는 인도의 영적 전통에서 오랜 세월 동안 사용되어 온 상징이에요. 만다라는 보통 원형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 원은 전체성과 삶의 활력을 상징해요. 만다라의 중심에는 자아가, 그 외곽에는 우주와의 연결이 자리잡고 있죠.만다라가 자아와 우주의 조화를 상징한다는 점에서, 이는 단순한 예술 작품이 아니라 깊은 영적 의미를 담고 있는 상징입니다.하지만 만다라는 인도에만 국한되지 않아요. 전 세계의 다양한 종교와 문화에서 만다라는 영적, 신비적, 치유적 에너지와 연관되어 나타나죠. 이 원형의 구조는 우리 마음속 깊은 곳에서 균형과 조화를 이루려는 본능적인 욕구를 반영하는 것 같습니다. 스리 얀트라 만다라: 고대의 지혜여러분 혹시 '스리 얀트라 만다라'에 대해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심리학_Mind therapy 2024. 5. 26. 22:49

칼융의 자서전 레드북(아트테라피)

Art of Centering the self  아트 테라피스트로써 심리학의 대가, 칼 융과 그의 만다라 작업에 대해 조금 더 깊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융의 만다라 작업은 단순한 그림 그리기를 넘어, 우리의 마음을 치유하고 진정한 자신을 발견하는 데 도움을 주는 놀라운 도구입니다.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내용을 여러분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보겠습니다.  칼 융과 자아 실현의 여정칼 융, 이 이름은 심리학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는 익숙할 거예요. 융은 자서전에서 자신의 삶을 "무의식의 자기 실현에 대한 이야기"라고 표현했어요. 여기서 '자아 실현'이라는 말은 단순히 우리가 스스로를 인식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더 넓고 깊은, 보편적인 의식을 통해 진정한 나 자신을 깨닫는 과정을 뜻해요. 이 개념은..

심리학_Mind therapy 2024. 5. 26. 22:4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다음
TISTORY
마인드플러스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