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드플러스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마인드플러스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06)
    • 컬러스토리_Color story (10)
    • 아트스토리_Art story (14)
    • 헬스 케어_Healthcare (16)
    • 행운의 메신저_Lucky messenger (5)
    • 실용 정보_Knowledge & Tips (2)
    • 심리학_Mind therapy (55)

검색 레이어

마인드플러스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페르소나(Persona): 나의 가면, 그 이면의 진짜 나

    2024.09.09 by thee

  • 색채 속의 심리: 퍼스널컬러 테스트가 전부일까?

    2024.09.08 by thee

  • 동작의 언어와 심리관계

    2024.09.08 by thee

  • 존재만으로도 충분한 당신

    2024.09.08 by thee

  • 삶의 진정한 수용에 대하여: 변화를 받아들이는 힘

    2024.09.08 by thee

  • 웹 디자인에서의 색채 심리학: 사용자 경험과 참여도 향상시키기

    2024.09.06 by thee

  • 호흡을 하면 왜 마음이 진정될까? : 호흡이 감정을 진정시키는 과학적 근거

    2024.09.05 by thee

  • 잠재의식이란 무엇일까요? 칼 융과 프로이트의 연구를 통해 알아보는 내 마음의 깊은 세계

    2024.09.01 by thee

페르소나(Persona): 나의 가면, 그 이면의 진짜 나

우리 모두는 때때로 가면을 씁니다. 그렇다고 해서 우리가 가짜라는 뜻은 아닙니다. 오히려, 우리는 상황과 관계에 맞춰 다양한 모습으로 자신을 표현하게 됩니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페르소나(Persona)'라고 부릅니다.페르소나는 고대 그리스에서 배우들이 사용한 가면을 뜻하는 말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우리가 타인에게 보여주는 사회적 역할이나 모습을 의미합니다.하지만 페르소나란 단순히 “가면'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가면이 우리의 진정한 자아를 완전히 숨기거나 왜곡시키기도 하고, 때로는 스스로 그 가면을 진짜 나라고 착각하기도 합니다. 오늘은 이 흥미로운 개념을 조금 더 깊이 탐구해보겠습니다. 페르소나: 타인에게 보여지는 나페르소나는 우리가 사회적으로 원하는 모습이나 역할을 말합니다. 예를 ..

심리학_Mind therapy 2024. 9. 9. 11:42

색채 속의 심리: 퍼스널컬러 테스트가 전부일까?

요즘 퍼스널컬러 테스트가 한참 유행이었죠?  많은 사람들이 자신에게 어울리는 색을 찾기 위해 웜톤, 쿨톤을 구분하고, 이를 바탕으로 옷을 고르곤 합니다. 물론, 퍼스널컬러가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지만, 정말 그게 전부일까요?과연 나에게 어울리는 색만 고집하는 것이 답일까요? 오늘은 그보다 더 중요한, 색채가 전달하는 심리적 메시지와 그 색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퍼스널컬러, 그 이상의 전략적 활용법퍼스널컬러 테스트는 내가 어떤 계열의 색이 잘 어울리는지를 알려줍니다. 예를 들어, 나는 웜톤의 레드가 잘 어울린다는 테스트 결과를 받았다고 해볼게요. 그러면 자연스럽게 빨간색이나 오렌지 같은 따뜻한 색감의 옷을 선택하게 됩니다. 하지만, 정말 중요한 자리나 특정 목적을 위한 ..

심리학_Mind therapy 2024. 9. 8. 23:10

동작의 언어와 심리관계

말이 직접적인 의미를 전달하는 것처럼, 우리의 몸도 말을 대신해 많은 신호를 보내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바로 이 몸의 언어가 바디랭귀지입니다. 동작 하나하나가 감정과 마음 상태를 표현하고 있는 거죠.우리의 몸짓이 무의식적으로 내뿜는 신호들은 때때로 말보다 더 솔직하게 마음을 드러내기도 합니다.오늘은 바디랭귀지와 심리의 관계, 그리고 이걸 어떻게 생활 속에서 활용할 수 있을지 알아볼게요.바디랭귀지, 우리 마음을 어떻게 표현할까?바디랭귀지에 대한 심리학 연구들은 우리 몸이 감정과 생각을 드러내는 중요한 도구라는 걸 보여줍니다.심리학자 알버트 메라비언에 따르면, 우리가 의사소통할 때 말로 전달하는 의미는 7%에 불과하고, 나머지 93%는 몸짓과 목소리 톤 같은 비언어적 요소로 전달된다고 해요. 쉽게 ..

심리학_Mind therapy 2024. 9. 8. 22:19

존재만으로도 충분한 당신

우리가 살아오면서 느꼈던 아픔, 기쁨, 좌절은 대부분 사회와 환경이 주입한 기준에 따라 반응해 온 결과라는 사실을 깨닫는 순간, 새로운 길이 열립니다. 이제는 외부 조건에 끌려가지 않고, 일어나는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심리학적으로 ‘수용’은 마음의 진정한 평화를 얻고, 삶의 자연스러운 흐름에 맞춰 살아가는 가장 빠른 길입니다. 이는 당신의 내면, 현실, 그리고 주변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과 조화를 이루는 상태로 이끄는 열쇠가 됩니다.수용이 가져오는 에너지의 흐름모든 사람에게 완전한 수용이 쉽게 다가오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삶의 무게가 벅차게 느껴지는 이들에게는 더더욱 그렇죠. 사랑 없는 결혼 생활, 만성 질환, 영혼 없는 직장, 또는 끝이 보이지 않는 빚에 얽매인 사람들..

심리학_Mind therapy 2024. 9. 8. 02:49

삶의 진정한 수용에 대하여: 변화를 받아들이는 힘

우리가 살아오면서 느꼈던 아픔, 기쁨, 좌절은 대부분 사회와 환경이 주입한 기준에 따라 반응해 온 결과라는 사실을 깨닫는 순간, 새로운 길이 열립니다. 이제는 외부 조건에 끌려가지 않고, 일어나는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심리학적으로 ‘수용’은 마음의 진정한 평화를 얻고, 삶의 자연스러운 흐름에 맞춰 살아가는 가장 빠른 길입니다. 이는 당신의 내면, 현실, 그리고 주변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과 조화를 이루는 상태로 이끄는 열쇠가 됩니다.수용이 가져오는 에너지의 흐름모든 사람에게 완전한 수용이 쉽게 다가오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삶의 무게가 벅차게 느껴지는 이들에게는 더더욱 그렇죠. 사랑 없는 결혼 생활, 만성 질환, 영혼 없는 직장, 또는 끝이 보이지 않는 빚에 얽매인 사람들..

심리학_Mind therapy 2024. 9. 8. 02:35

웹 디자인에서의 색채 심리학: 사용자 경험과 참여도 향상시키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웹 디자인에서의 색채 심리학이 사용자 경험(UX)과 참여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려고 합니다. 색상은 단순히 웹사이트의 미적 요소로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방문자의 감정과 행동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처음 방문했을 때 색상은 그들의 첫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며, 잘 활용하면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참여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색채 심리학이란 무엇인가?색채 심리학은 색상이 사람의 감정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각 색상은 고유한 심리적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웹 디자인에 적용하면 사용자의 감정을 조작하고 특정 행동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따뜻한 색상은 에너지를 주고, 차가운 색상은 안정감을 줍니다 .  ..

심리학_Mind therapy 2024. 9. 6. 13:25

호흡을 하면 왜 마음이 진정될까? : 호흡이 감정을 진정시키는 과학적 근거

화를 내거나 불안할 때 깊은 숨을 들이쉬라고들 하는데 왜 그럴까요?외국의 경우 자녀들 혹은 사람들이 울거나 감정이 격해있으면 깊은 호흡을 먼저 하도록 시킵니다. 호흡과 감정이 상관관계가 있을까요?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보겠습니다.호흡 기술이 감정을 진정시키고 평온한 상태를 유도하는 이유는 주로 신경과학적, 생리학적 기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과학적 근거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1. 자율신경계 조절우리의 자율신경계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교감신경계:'싸우거나 도망가라(fight or flight)' 반응을 담당. 스트레스, 공포, 긴장 상황에서 활성화됨.- 부교감신경계: '휴식하고 소화하라(rest and digest)' 반응을 담당. 몸을 안정시키고 회복시키는..

심리학_Mind therapy 2024. 9. 5. 11:22

잠재의식이란 무엇일까요? 칼 융과 프로이트의 연구를 통해 알아보는 내 마음의 깊은 세계

우리 마음속 깊은 곳에는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또 다른 세계가 존재해요. 바로 '잠재의식'이죠. 이 잠재의식이라는 개념은 심리학의 대가들, 특히 칼 융(Carl Jung)과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같은 인물들의 연구에서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졌습니다. 오늘은 그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잠재의식이란 무엇인지 쉽게 풀어볼게요.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잠재의식  먼저, 프로이트부터 시작해볼까요? 프로이트는 정신분석의 창시자로, 인간의 마음을 빙산에 비유했어요. 우리가 의식적으로 인식하는 부분은 빙산의 일각, 즉 물 위에 드러난 부분일 뿐이고, 그 밑에는 훨씬 더 큰 부분이 숨겨져 있다는 거죠. 이 숨겨진 부분이 바로 잠재의식입니다.프로이트에 따르면, 잠재의식에는 우리의 본능적 욕구, 억압된 기억,..

심리학_Mind therapy 2024. 9. 1. 12:1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5 6 7 8 9 10 11 ··· 14
다음
TISTORY
마인드플러스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